
결혼을 준비하면서 결혼정보회사에 가입을 고려하는 분들에게는 ‘등급표’라는 용어가 낯설지 않을 겁니다. 등급표는 특정 결혼정보회사가 회원들을 나누는 기준으로, 서로 비슷한 조건의 사람들이 만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등급표는 비공식적인 경우가 많으며, 회사마다 기준과 운영 방식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결혼정보회사의 등급표에 대해 깊이 분석하며, 남성과 여성의 기준이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어떤 요소가 등급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결혼정보회사 등급표란?
결혼정보회사 등급표는 회원의 학력, 직업, 소득, 외모, 가정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여 등급을 나누는 체계입니다. 주요 목적은 비슷한 조건을 가진 사람들끼리 매칭을 원활히 하여 성공적인 결혼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입니다.
다만, 이 등급표는 공식 문서가 아니라 인터넷이나 커뮤니티에서 유출된 정보인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결정사는 등급표의 존재를 부정하며, 매칭 기준이 더 유연하고 개별적이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2. 등급표 기준: 남자 vs 여자
결혼정보회사는 남성과 여성의 등급을 평가할 때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합니다. 아래 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남성과 여성의 등급 기준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등급 | 남성 기준 | 여성 기준 |
---|---|---|
1등급 | 서울대 법대 출신 판사, 대형 로펌 변호사 | 부모가 고위 공무원(장·차관), 대기업 CEO |
2등급 | 의사, 대기업 임원, 행정고시 합격자 | 명문대 졸업, 전문직 (의사, 변호사), 미스코리아 선 |
3등급 | 공기업 고위직, 외국계 기업 고연봉자 | 스타급 연예인, 메이저 언론사 아나운서 |
4등급 | 대기업 일반직, 공공기관 중위급 | 중소기업 전문직, 가정환경 양호 |
5등급 | 중소기업 관리자, 지방직 공무원 | 외모 준수, 일반 사무직, 교사 |
3. 주요 평가 요소 분석
3.1 학력 및 직업
- 남성: 주로 학벌(SKY 등)과 전문직(의사, 변호사 등)이 상위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 여성: 명문대 졸업이나 전문직 종사자는 높은 등급에 속하며, 학력이 아닌 직업적 성취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3.2 소득
- 남성의 경우 소득이 등급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연봉 1억 원 이상은 최상위 등급에 포함됩니다.
- 여성은 소득보다는 외모와 가정환경이 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됩니다.
3.3 외모
- 외모 평가가 등급 산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남성과 여성 모두 외모 점수로 등급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일부 결혼정보회사는 외모 평가를 위해 전문 컨설턴트를 고용하기도 합니다.
3.4 가정환경
- 부모의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 자산 등이 평가에 포함됩니다. 상위 등급의 경우 부모가 고위 공무원이거나 상당한 자산을 보유한 경우가 많습니다.
3.5 나이
- 결혼 적령기에 가까울수록 높은 등급을 받기 쉽습니다. 남성은 27-45세, 여성은 25-40세가 적령기로 간주됩니다.
4. 등급표의 장점과 한계
장점:
- 회원 간의 조건을 효율적으로 비교할 수 있어 매칭 성공률이 높아집니다.
- 회원이 원하는 기준에 따라 맞춤형 매칭이 가능합니다.
한계:
- 사람을 숫자와 조건으로 평가하는 점에서 윤리적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등급표에 의존한 매칭은 진정한 관계 형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결혼정보회사의 등급표는 회원의 조건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매칭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도구입니다. 만약 상담을 생각 중이시라면 미리 참고용으로 확인 해보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단순히 조건으로 등급을 나누는 것은 제한적이라는 것, 기억해주세요!
🔽결혼 준비에 도움되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