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이 버는 직업 BEST 20, 고연봉 순위 싹 공개 [최신]](https://slowbutright.co.kr/wp-content/uploads/2025/07/25.07-%EC%9B%8C%ED%94%84-%EC%83%9D%ED%99%9C-%EB%8F%88-%EB%A7%8E%EC%9D%B4-%EB%B2%84%EB%8A%94-%EC%A7%81%EC%97%85.png)
‘돈 많이 버는 직업’은 누구에게나 궁금한 주제입니다. 특히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 시기이거나 이직과 투잡, 사이드잡으로 추가 수익을 노리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2025년 최신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국에서 돈 많이 버는 직업 BEST 20과 연봉 수준, 선택 시 주의할 점까지 싹 다 정리해드립니다.
1. 돈 많이 버는 직업 기준은?
‘돈 많이 버는 직업’은 단순히 월급이 높은 것만을 기준으로 잡으면 안 됩니다. 연봉, 복지, 근속 연수, 워라밸, 직업 안정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최근에는 고연봉이라도 업무강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퇴사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2025년 기준 한국고용정보원과 통계청 자료를 참고했으며, 일반 직장인, 전문직, 공무원, 금융권, IT 개발자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해 순위를 매겼습니다.
2. 돈 많이 버는 직업 BEST 20 (2025년)
2-1) 1위~5위
- 이비인후과 전문의: 평균 연봉 1억 5천만원 이상, 환자 수요 꾸준, 개원 시 수익 상승
- 성형외과 전문의: 평균 연봉 1억 4천만원 이상, 수술 케이스 많아 수입 고
- 피부과 전문의: 평균 연봉 1억 3천만원 이상, 시술 단가가 높아 수익성 높음
- 도선사: 평균 연봉 1억 2천만원 이상, 높은 진입장벽, 해양 운송 필수 인력
- 국회의원: 평균 연봉 1억 5천만원, 각종 수당 및 지원 경비 포함 시 실수령 2억 이상
2-2) 6위~10위
- 변호사: 연봉 1억 이상, 경력/케이스별 차이 크지만 평균 이상 고수익
- 판사/검사: 연봉 1억 내외, 고정적이고 안정적 수익
- 마취과 전문의: 연봉 1억 이상, 의료 사고 리스크 있으나 수요 많음
- 항공사 기장(조종사): 연봉 9천만원~1억 2천만원, 비행 경력에 따라 상이
- 은행 지점장(대형 시중은행): 연봉 9천만원~1억원, 성과급 포함 시 변동
2-3) 11위~20위
- IT 개발자(대기업): 연봉 7천만원~1억원, 경력과 프로젝트 따라 변동
- AI/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연봉 8천만원~1억원, 수요 증가 중
- 재무 컨설턴트(대형사): 연봉 7천만원~9천만원, 성과급 포함
- 의류/화장품 브랜드 MD(대기업): 연봉 6천만원~9천만원, 성과급 연동
- 게임 기획/PM(대형사): 연봉 6천만원~8천만원
- 한의사: 연봉 7천만원 이상, 지역/개원 여부 따라 상이
- 약사: 연봉 6천만원 이상, 근무 형태 따라 다름
- 외국계 컨설팅 펌 컨설턴트: 연봉 8천만원 이상, 업무강도 높음
- 회계사: 연봉 7천만원 이상, 빅4 기준 고연봉
- 세무사: 연봉 6천만원~8천만원
3. 돈 많이 버는 직업 특징
돈 많이 버는 직업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높은 전문성 요구: 의사, 변호사, 회계사처럼 진입장벽이 높음
- 업무강도와 스트레스: 높은 연봉인 만큼 업무강도도 높음
- 경력과 네트워크 중요: 금융, 컨설팅, 의사 분야는 경력이 곧 수익으로 연결됨
- 투자와 개원 리스크: 의료 직군 및 프리랜서 영역은 초기에 투자비용이 높음
4. 돈 많이 버는 직업 선택 시 주의할 점
- 연봉만 보고 진입했다가 업무강도에 지쳐 포기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 의사, 변호사, 회계사, 도선사 등은 수험 기간이 길고 진입 비용이 큽니다.
- IT/데이터 직군은 트렌드 변화가 빨라 꾸준한 자기개발이 필수입니다.
- 금융, 컨설팅, 영업 직군은 성과 기반 수익이므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주변에 금융쪽에서 일하는 지인들이 많은데요. 성과가 좋아도 하루아침에 책상을 빼야하는 일이 생길 정도로, 큰 돈이 오고 가는 업종인만큼 리스크도 크더라고요.
5. 결론: 돈 많이 버는 직업으로 나의 커리어 전략을 세우세요
2025년 돈 많이 버는 직업 순위를 보며 느끼셨겠지만, 단순히 연봉만 높은 직업을 선택하기보다는 본인의 성향과 장기 목표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장기적으로 경제적 자유와 워라밸을 모두 잡고 싶다면, 자격증 기반 직군 + IT 기술 결합 + 투자 포트폴리오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